도서 상세보기

도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도서 정보

분류> 예술/가정/가사> 미술/음악

담채화

  • · 저자 서제섭
  • · 발행일 2023년 9월 22일
  • · ISBN 978-89-472-8660-2 (14640)
  • · 페이지수 236쪽
  • · 판형 224*297
  • · 정가 25,000원
  • · 도서상태 판매중

도서 상세보기

머리말


현재 우리의 미술교육은 지역적으로 보아 동양권에 있으면서도 서양미술에 치중되어 있는 실정이다. 이런 점에서 저자는 옛 선조들의 빛나는 고유전통을 되살려 계승 발전시키고자 동양화에 대한 인식과 보급은 물론, 선과 여백에 생명을 둔 정신적 소산(所産)인 동양화의 이론과 실기를 겸한 교육자료가 있어야겠다고 늘 생각을 해 오고 있었다.

근래에 와서 동양화 기법에 관한 책이 몇 종류 출판된 걸로 알고 있다. 그중 몇 가지는 국내의 환가에 의해 저술된 것이지만, 그 외의 대부분은 외국판을 역서했거나 혹은 이것저것을 재편집하여 출판한 것에 불과하였기에, 그동안 필자는 강단에서 얻은 경험과 여러 자료를 기초로 하여 내 자신이 공부한다는 입장에서 이십여 년 가까이 작화로 집필한 것을 총정리해 동양화 기법의 지침서를 시리즈로 출간하게 되었다.

그 내용에 있어서 선인화가들의 화론을 기초로 하고 또 현대의 새로운 이론을 참고하였으며, 예시한 그림의 대상물의 기본형태와 특징은 물론, 생물학적인 내용까지로 반영하는 데 주력을 아끼지 않았다.

본서는 수묵화(水墨畵)의 다음 단계인 담채화(淡彩畵), 즉 먹(薁)과 채색(彩色)을 활용한 실기로, 재료와 용구, 필묵(筆墨)에 따른 기법, 색채의 사용법, 그리고 작화의 요령, 화조화(花鳥畵), 정물화(靜物畵), 그리고 낙관(落款)에 대한 상식까지 수록하였다. 특히 정물화편은 미술대학 동양학과를 지망할 학생들에게 조금의 도움이 있으리라 여겨진다.

이 같은 일을 하게끔 제시한 경북대학교 유황(愈煌) 교수님, 원고의 제작과정 중 많은 조언을 해 주신 홍익대학교 하태진(河泰瑨) 교수님, 같이 근무한 우석대학교 조돈구(趙敦九) 교수님, 그리고 이론 및 해설의 원고를 정리해 준 국문학과 대학원 출신의 박현숙(朴賢淑) 선생과 형설출판사 장지익 회장님께 감사드립니다.

동양화를 배우려면 초심자(初心者)에서 중견(中堅)에 이르기까지 도움이 되게 하려고 수정(修整), 증보(增補)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그 뜻이 얼마만큼이나 전달의 효과가 있을는지, 독자 여러분의 따뜻한 지도편달을 바랍니다.


하정(霞汀) 씀



저자 소개


霞汀(하정) 徐濟燮(서제섭)
1941년 전라북도 고창(高敞) 출생
1965년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졸업
1971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
1963~64 ‘신인예술상전’ 2회, ‘국전(國展)’ 입선
1970~81 ‘홍전(弘展 : 경북 홍익대 동문)’ 12회
1973~12 ‘개인전’ 7회(대구, 전주)
1978~79 ‘미술단체연립전(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)’
1985~05 ‘한국미협 전북지회 회원전’
1992~05 ‘전북미술대전 초대작가전’
1999 ‘금강산스케치 초대전(서울 공평아트센터)’
2000 ‘백두산스케치 초대전(서울 공평아트센터)’
1970~83 영남대ㆍ효성여대ㆍ계명대ㆍ경남대ㆍ동국대
(경주)ㆍ경북대 강사 역임
1984~07 우석대학교 한국화과 교수 역임
2000~02 우석대학교 예체능대 학장 역임
2007~현 우석대학교 명예 교수
한국미술협회 회원


▶ 저서
• 「四君子 技法」. 도서출판 우람, 1989.
• 東洋畵技法硏究 : 「水墨畵ㆍ淡彩畵ㆍ山水畵ㆍ花鳥畵(上), (下)ㆍ人物畵ㆍ四君子·한국화 교본 (상), (하)ㆍ화제와 구도」. 전10권. 형설출판사, 1992~2018.



목차

차례

서문 3

담채화(淡彩畵) 9
재료와 용구(材料用具) 10
필묵의 사용법(筆墨使用法) 12

1. 용필법(用筆法 : 運筆法) 13
∙ 직필 13
∙ 측필 15
∙ 순필 16
∙ 역필 16
∙ 파필 17
∙ 갈필 18
∙ 각종 필선의 비교 19

2. 용묵법(用墨法:調{墨法) 20
∙ 삼묵법 20
∙ 초묵법 20
∙ 발묵법 21
∙ 파묵법 21
∙ 몰골법 22
∙ 구륵법 22
∙ 필묵운용에 따른 여러 가지 효과 22

색채(色彩) 24
∙ 색의 사용법 24
∙ 색의 혼합과 조화 25
∙ 먹과 채색의 조화 28

사생의 방법(寫生方法) 33
작화요령(作畫要領) 39
∙ 표현의 인식 39
∙ 대상물의 선택 40
∙ 대상물의 관찰 41
∙ 구도 42
∙ 표현의 실제 44
∙ 그림의 품격 44

화조화 45
1. 작화의 순서(作畫順序) 45
∙ 비파 46
∙ 꽃창포 49
∙ 군자란 52
∙ 자등화 55
∙ 능소화 58
∙ 참새와 홍매 61
∙ 장미와 벌 64
∙ 국화와 참새 67
∙ 수선화 70
∙ 참나리 73
∙ 금붕어와 수초 76
∙ 고양이와 수선화 79

2. 화훼와 과실의 묘법(花卉, 果實描法) 82
∙ 나팔꽃 83
∙ 철쭉 85
∙ 해바라기 87
∙ 수세미외 91
∙ 호리병박 93
∙ 수국화 95
∙ 목부용 97
∙ 동백꽃 99
∙ 복숭아 101
∙ 감 103
∙ 석류 105

3. 새의 묘법(鳥描法) 107
∙ 참새 117
∙ 박새 120
∙ 닭 122
∙ 금계 128
∙ 학 130
∙ 매 133
∙ 제비 135
∙ 곤줄박이 138
∙ 오색딱따구리 140
∙ 팔색조 142
∙ 후투티 144

4. 물고기와 개구리의 묘법(魚, 蛙描法) 146
∙ 금붕어 147
∙ 잉어 148
∙ 개구리 150
∙ 청개구리 150

5. 초충의 묘법(草蟲描法) 152
∙ 나비 153
∙ 벌 154
∙ 잠자리 154
∙ 메뚜기 155
∙ 하늘소 155
∙ 사마귀, 버마재비 155

6. 동물의 묘법(動物描法) 160
∙ 호랑이 161
∙ 고양이 174
∙ 강아지 177

7. 소과의 묘법(蔬果描法) 180
∙ 배추 181
∙ 죽순 182
∙ 무 182
∙ 버섯 183
∙ 고추 183
∙ 양파 183
∙ 파 184
∙ 마늘 185
∙ 가지 185
∙ 감자 185
∙ 고구마 186
∙ 호박 186
∙ 참외 186
∙ 수박 187
∙ 사과 187
∙ 귤 188
∙ 딸기 188

정물화(靜物畫) 193
∙ 북어 194
∙ 화병 195
∙ 바구니 196
∙ 국화 197
∙ 송지 198
∙ 각종 기물들 199
∙ 정물화의 제작법 203

낙관(落款) 207
∙ 낙관이란 207
∙ 인장의 종류 207
∙ 인장 사용의 실예 207

화제편(畫題}箯) 212
1. 사군자(四君子) 212
∙ 난초 212
∙ 대나무 213
∙ 매화 214
∙ 국화 214

2. 산수화(山水畫) 215
∙ 사계절 공통 215
∙ 봄 216
∙ 여름 216
∙ 가을 216
∙ 겨울 216

3. 화조화(花鳥畫) 217
∙ 복숭아꽃 217
∙ 꽃 217
∙ 백목련 217
∙ 자목련 218
∙ 장미 218
∙ 목단 218
∙ 연꽃 218
∙ 부용 218
∙ 버드나무 218
∙ 소나무 218
∙ 포도 218
∙ 복숭아 218
∙ 석류 218
∙ 초충 218
∙ 물고기 219
∙ 게 219
∙ 새 219
∙ 노안 219
∙ 매 219

감상편(鑑賞篇) 221
참고문헌(參考文獻) 234